[프로그래머스/Python] 호텔 대실 & 배달
하핳하하하
밀린 데일리 레벨업....
이제 망나니짓 ㄴ !!
열심히 밀린 문제 풀어나가겠읍니다..

1. 프로그래머스 연습문제 > 호텔 대실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55651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문제
문제 설명
호텔을 운영 중인 코니는 최소한의 객실만을 사용하여 예약 손님들을 받으려고 합니다. 한 번 사용한 객실은 퇴실 시간을 기준으로 10분간 청소를 하고 다음 손님들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예약 시각이 문자열 형태로 담긴 2차원 배열 book_tim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코니에게 필요한 최소 객실의 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1 ≤ book_time의 길이 ≤ 1,000
- book_time[i]는 ["HH:MM", "HH:MM"]의 형태로 이루어진 배열입니다
- [대실 시작 시각, 대실 종료 시각] 형태입니다.
- 시각은 HH:MM 형태로 24시간 표기법을 따르며, "00:00" 부터 "23:59" 까지로 주어집니다.
- 예약 시각이 자정을 넘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시작 시각은 항상 종료 시각보다 빠릅니다.
- book_time[i]는 ["HH:MM", "HH:MM"]의 형태로 이루어진 배열입니다
입력

CODE
def solution(book_time):
# 시간 구하기 (문자열 정수화, '분' 기준으로 변환)
def get_time(str_time):
h, m = map(int, str_time.split(':'))
return h * 60 + m
book_time.sort(key = lambda x : x[0]) # 시작시간만 비교하기 위해 정렬
end_time = [get_time(book_time[0][1])] # 첫 번째 종료시간 저장
for start, end in book_time[1:]:
change = False # 변화 여부 체크용 변수
for idx, each in enumerate(end_time):
# 청소시간 후의 시간보다 대실 시작 시간이 늦으면 같은 방에서 대실 가능
if get_time(start) >= each + 10:
end_time[idx] = get_time(end) # 기존 자리에 새로운 끝나는 시간 갱신
change = True
break
# 겹쳐서 새로운 방이 필요한 경우
if not change:
end_time.append(get_time(end))
return len(end_time)
- 문자열로 들어오는 시간을 정수로 쪼개서 분 단위로 맞춰주는 것
- 리스트를 정렬해서 종료시간만 고려할 수 있게 하는 것
- 문제의 포인트는 위 두 개인 것 같다~
2. 프로그래머스 Summer/Winter Coding(~2018) > 배달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78?language=python3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문제
N개의 마을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습니다. 이 나라의 각 마을에는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각각 하나씩 부여되어 있습니다. 각 마을은 양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는 도로로 연결되어 있는데, 서로 다른 마을 간에 이동할 때는 이 도로를 지나야 합니다. 도로를 지날 때 걸리는 시간은 도로별로 다릅니다. 현재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에서 각 마을로 음식 배달을 하려고 합니다. 각 마을로부터 음식 주문을 받으려고 하는데, N개의 마을 중에서 K 시간 이하로 배달이 가능한 마을에서만 주문을 받으려고 합니다. 다음은 N = 5, K = 3인 경우의 예시입니다.

위 그림에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은 [1, 2, 4, 5] 번 마을까지는 3 이하의 시간에 배달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3번 마을까지는 3시간 이내로 배달할 수 있는 경로가 없으므로 3번 마을에서는 주문을 받지 않습니다. 따라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배달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은 4개가 됩니다.
마을의 개수 N, 각 마을을 연결하는 도로의 정보 road,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음식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마을의 개수 N은 1 이상 5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- road의 길이(도로 정보의 개수)는 1 이상 2,000 이하입니다.
- road의 각 원소는 마을을 연결하고 있는 각 도로의 정보를 나타냅니다.
- road는 길이가 3인 배열이며, 순서대로 (a, b, c)를 나타냅니다.
- a, b(1 ≤ a, b ≤ N, a != b)는 도로가 연결하는 두 마을의 번호이며, c(1 ≤ c ≤ 10,000, c는 자연수)는 도로를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.
- 두 마을 a, b를 연결하는 도로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습니다.
- 한 도로의 정보가 여러 번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습니다.
- K는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며, 1 이상 500,000 이하입니다.
- 임의의 두 마을간에 항상 이동 가능한 경로가 존재합니다.
-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K 이하의 시간에 배달이 가능한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면 됩니다.
입력

CODE
import math
def solution(N, road, K):
m = len(road) # 간선 수
graph = [[math.inf] * (N + 1) for _ in range(N + 1)] # 2차원 리스트를 만들고, 모든 값을 무한으로 초기화
# 자기 자신에서 자기 자신으로의 비용은 0으로 초기화
for a in range(1, N + 1):
graph[a][a] = 0
# 각 간선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, 그 값으로 초기화
for a, b, c in road:
graph[a][b] = min(graph[a][b], c)
graph[b][a] = min(graph[b][a], c)
# 점화식에 따라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을 수행
for k in range(1, N+1):
for a in range(1, N+1):
for b in range(1, N+1):
graph[a][b] = min(graph[a][b], graph[a][k] + graph[k][b])
answer = 0
# 수행된 결과를 출력
for b in range(1, N + 1):
if graph[1][b] <= K:
answer += 1
return answer
- 오 그래도 보자마자 플로이드 워셜을 통한 문제풀이라는 감을 잡아서 기뻤다.
- 끝! -